You are currently viewing MBTI부터 에니어그램까지, 우리가 성격을 알고 싶어하는 진짜 이유

MBTI부터 에니어그램까지, 우리가 성격을 알고 싶어하는 진짜 이유

MBTI부터 에니어그램까지

우리가 성격을 알고 싶어하는 진짜 이유

“나는 INFP야.”
“넌 3w4니까 그런 거지.”
“그 사람은 ISTJ라서 딱 봐도 계획형이야.”

요즘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을 설명할 때
성격 유형이라는 도구를 자주 사용합니다.
그것도 단순히 한두 번의 테스트가 아니라
MBTI, 에니어그램, DISC, TCI, Big5 등
수많은 검사들이 일상 대화 속에 등장하고 있죠.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질문이 생깁니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자신과 타인의 성격을 알고 싶어할까요?

단순한 유행일까요?
재미로만 접근하는 걸까요?
아니면 그 이면에는 보다 깊은 심리적 이유가 숨겨져 있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 성격 유형 검사의 구조와 기능,
✔ 우리가 그런 검사에 끌리는 진짜 이유,
✔ 그 안에 담긴 정체성과 안정감에 대한 갈망,
그리고
✔ 심리학적 해석을 기반으로
MBTI부터 에니어그램까지,
우리가 성격을 통해 자신을 알고 싶어하는 본질적인 이유를 차근히 풀어보겠습니다.


1. 우리는 ‘나’를 이해하고 싶어한다 — 그것도 구체적으로

“나는 왜 이럴까?”
“왜 똑같은 상황에서도 사람마다 반응이 다를까?”
“나는 어떤 사람일까?”

이런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닙니다.
심리학에서는 이걸 **자기이해 욕구(Self-understanding)**라고 부릅니다.

📌 칼 로저스(Carl Rogers)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스스로를 이해하고 수용할수록
심리적 안정과 자아실현을 경험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복잡하죠.
감정은 뒤섞이고,
경험은 모호하며,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는 어렵습니다.

추가정보 :  심리검사가 주는 심리적 안정감의 비밀

그래서 우리는
MBTI나 에니어그램 같은 **‘틀’**을 빌려
복잡한 나를 이해 가능한 언어로 정리하려고 하는 것이죠.


2. 성격 검사는 ‘자기 해석의 언어’를 제공한다

우리는 종종
자기 자신을 설명할 언어가 부족해서 더 혼란스러워지곤 해요.

그럴 때 MBTI나 에니어그램은
✔ “당신은 이러이러한 경향이 있습니다.”
✔ “당신은 이런 식으로 갈등에 대응합니다.”
✔ “이런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라는 문장으로
**‘아, 나를 이렇게 해석할 수도 있구나’**라는 힌트를 줍니다.

💬 예전에 저는 “나는 왜 감정 기복이 심하지?”라는 질문에 답을 못 찾았는데,
INFP 유형 설명에서
“내면 감정의 파도는 깊지만 외부에 드러내지 않음”
이라는 문장을 보고 큰 위로를 받았어요.


3. MBTI와 에니어그램, 서로 다른 방식의 ‘성격 지도’

✔ MBTI는 정보 처리 방식과 의사결정 구조를 보여주는 프레임입니다.

  • 외향(E) / 내향(I)
  • 감각(S) / 직관(N)
  • 사고(T) / 감정(F)
  • 판단(J) / 인식(P)

✔ 내가 세상을 어떻게 보고, 판단하고, 행동하는가에 대한 성향 분석이에요.

✔ 에니어그램은 감정과 동기, 내면의 갈등에 더 초점을 둡니다.

  • 9가지 기본 성격 유형 + 윙(w) + 스트레스/성장 방향
  • 유형마다 두려움, 욕구, 방어 기제가 다릅니다.

✔ 인간의 내면 심리를 더 깊게 파고드는 ‘심층 분석형’ 도구죠.


4. 유형을 알면 불확실한 ‘나’를 정리할 수 있다

성격 검사는 단순히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정의를 내리려는 게 아닙니다.
사실은,
✔ 혼란스러운 감정
✔ 반복되는 관계 패턴
✔ 이해 안 되는 내 행동 등을
구조적으로 해석하고 싶어하는 마음이 작용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 “나는 왜 사람 많은 자리에 가면 피곤하지?”
    → 내향성(I)의 특성
  • “왜 갈등 상황에서 도망가고 싶을까?”
    → 에니어그램 9번 유형의 방어기제

이런 해석은
자책을 줄이고,
수용을 높이며,
감정 조절 능력을 키워주는 효과
로 이어집니다.


5. 성격 유형은 ‘관계 속의 나’를 설명해준다

성격 유형이 매력적인 또 다른 이유는,
✔ ‘나’뿐 아니라 ‘타인과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에요.

  • “그 사람은 T형이라 감정 표현이 서툴러.”
  • “나는 2번 유형이라 돌보는 게 내 중심이야.”
  • “P형인 너랑 J형인 내가 충돌하는 건 당연한 거지.”
추가정보 :  성향 파악을 통해 인간관계를 개선하려는 심리

이런 유형 기반 대화는
✔ 갈등을 단순화시키고
✔ 차이를 인정하게 만들며
✔ 관계를 더 유연하게 풀어낼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저는 부모님과의 갈등에서,
아버지가 ISTJ라는 걸 이해하고 나서
계획과 안정감을 중시하는 점을 존중하게 되었어요.
전에는 답답했는데, 지금은 이해할 수 있어요.


6. 결국, 성격 유형을 알고 싶은 건 ‘정체성’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나는 어떤 사람인가”라는 질문을 마음속에 품고 살아갑니다.
이건 단지 성향이나 기질의 문제가 아니라
삶 전체를 끌고 가는 정체성(identity)의 문제예요.

성격 검사는
이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 나를 붙잡을 수 있는 심리적 기준
✔ 나를 표현할 수 있는 언어
✔ 나를 바탕으로 삶을 설계할 수 있는 틀
을 제공해줍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MBTI나 에니어그램을 단순한 테스트로 넘기지 않고,
‘나를 알아가는 도구’로 받아들이는 심리적 흐름을 보이는 것이죠.


마무리 – 성격 검사는 거울이자 지도다

MBTI, 에니어그램, Big5…
이 모든 성격 테스트들은 결국
‘나를 규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 아니라
‘나를 탐색’하기 위한 거울이자 지도입니다.

✔ 내가 누구인지 알고 싶고
✔ 왜 이런 감정을 느끼는지 설명하고 싶고
✔ 타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고 싶고
✔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그려보고 싶은 마음

그 마음이 모여
우리는 성격 검사라는 도구를 찾아가게 되는 거예요.

💬 저도 요즘은 테스트 결과보다,
“나는 이런 설명을 들을 때 마음이 편해졌구나”
를 더 중요하게 생각해요.
결국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그 결과를 통해 나를 더 이해하게 된 순간들
이니까요.

혹시 지금
자기 자신이 낯설게 느껴지시나요?
그렇다면 작은 테스트 하나라도 해보세요.
그 안에서 시작되는 질문과 사유의 시간
당신을 조금 더 깊은 나로 이끌어줄지도 모릅니다. 😊

 

답글 남기기